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예술은 사기인가? 예술은 사기인가? 예술가 백남준이 “원래 예술이란 반이 사기다. 속이고 속는 것이다. 사기 중에서도 고등사기다. 대중을 얼떨떨하게 만드는 것이 예술이다.” 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가 이렇게 말한 이유는 무엇일까? 요즘 들어 예술이라는 것을 공부하면 할 수록 나는 점점 더 혼란에 빠지고 있다. ‘예술’ 이라는 말 자체를 규정짓기도 힘든 일인데, 예술이 사기라는 말은 또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 우선 나는 예술이 사기인 이유를 창조된 하나의 작품으로부터 시작해서 해석하고 싶다. 나는 어렸을 때 책에서 처음 몬드리안의 을 보고, 그 그림이 아주 유명하고 대단한 그림이라는 걸 이해할 수 없었다. 단순한 선과 몇 가지 색상으로 이루어진 그 그림은 어떻게 보면 누구라도 손쉽게 그릴 수 있는 것 같이 느껴졌다... 2020. 9. 2.
안티고네 : 자유란 무엇인가 안티고네 : 자유란 무엇인가 안티고네 줄거리 소포클레스의 는 주인공인 안티고네와 테베의 왕 크레온 간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테베의 왕이었던 오이디푸스가 죽은 후, 왕위를 놓고 그의 두 아들인 에테오클레스, 폴리네이케스가 싸움을 벌인다. 폴리네이케스는 타국인 아르고스의 군대를 이끌고 와 전투를 벌이지만 그 결과 폴리네이케스와 에테오클레스 둘 다 죽게 된다. 뒤 이어 아르고스의 군대를 격파하고 왕위에 오른 크레온은 에테오클레스의 장례는 성대하게 치러주지만 폴리네이케스의 시신은 새나 개들의 먹이가 되도록 버려두었다. 그러자 동생인 안티고네는 폴리네이케스의 시신을 몰래 매장했다가 들키게 된다. 크레온은 법을 어긴 그녀를 동굴 속에 가두기로 한다. 뒤늦게 크레온은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안티고네를 풀어주러 가지만.. 2020. 9. 1.
자아이론 : 자아의 변화 그리고 인상관리, 구실만들기 자아이론 : 자아의 변화 그리고 인상관리, 구실만들기 ◎ 자아의 변화 자아는 ‘변화’ 한다. 자아의 변화를 위해서는 인지적 통제력을 얻기 위한 자기파악이 중요하다. 보통 사람들은 인지적 보수성 때문에 자아 변화가 어렵다. 따라서 자아가 변화하려면 주변의 검증과 지지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중요한 타자들(Significant others)에게 적극적으로 공표하고 지지를 호소해야한다. 즉, 공개적인 표식이 드러나는 행동을 해야한다. ◎ 인상관리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어떻게 보일지에 관심을 가지며,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하여 인상 관리를 한다. 그러나 인상관리가 항상 의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무의식 중에 자동적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인상관리에는 2가지 차원이 있다. 첫 번째로 적극적.. 2020. 9. 1.
자아이론 : 자아의 세 가지 기능 자아이론 : 자아의 세 가지 기능 자아란 무엇인가? 자아란 사람들이 ‘스스로의 모습이라고 느끼는 구성체’ 이다. 자아는 내가 스스로 남들과 나를 비교하는 비교평가, 남들이 나를 어떻게 평가하는 지를 반영하는 반영평가,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는 자기지각 과정을 통해 파악, 구성된다. 자아의 세 가지 기능 1. ‘정보처리자’로서의 기능 도서관에 분류체계가 있듯이 자아에도 도식이 있다. Markus가 주장한 자기도식이론에서 ‘자기’란 과거의 경험을 통해 획득된 스스로에 대한 일반화된 특성의 복합체로서 자기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도식의 특성을 지니는 것이다. 자기도식은 정보처리 상에서 세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자기 도식이 있는 사람은 자기 도식이 없는 사람보다 정보처리 속도가 빠르다. 둘째, 어.. 2020. 9. 1.